반응형
T-Code에 'N'이 붙는 이유
T-Code 뒤에 N이 붙은 것은 Enjoy 트랜잭션이다. (ME23N, SE16N...)
객체 개념(OOP)으로 생성되었으며, 좀 더 사용자 친화적이고 안정적이며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. 성능적으로도 향상이 있을 것이니 N이 붙은 T-Code가 있다면 사용하는게 좋다.
반응형
'SA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AP] isql 사용하기(SQL 예제) (0) | 2025.08.20 |
---|---|
[SAP] 손익 센터에 매핑된 코스트 센터 조회하기 (1) | 2025.08.14 |
[SAP] ECC OS 레벨에서 DB 접속하기(+ sap* 잠금 해제 방법) (0) | 2025.06.16 |
[SAP] CDS View와 AMDP의 차이 (0) | 2025.04.16 |
[SAP] Screen Status 생성하지 않고 스탠다드 활용하는 법 (0) | 2025.03.20 |